
한메일 이메일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존재하였지만 지금은 이름이 존재하지 않는 메일 서비스이지요. 나이 많은 사람은 '한메일'하면 바로 인식이 되지만 나이가 많지않은 사람의 경우에는 한메일 하면 딱 와닿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한메일은 과거에 굉장히 많은 인기를 끌은 메일서비스입니다. 그리고 지금역시 많은 사람들이 이용을 하는 메일이지요. 사용하는 연령대는 꽤나 높으리라 생각합니다.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지금의 다음메일의 전신이 '한메일' 입니다. 다음은 처음에는 메일서비스로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다가 다음이라는 포털서비스로 개편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이마저도 조금씩 흔적을 지워나가면서 카카오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태어나는 과정이라고 할것같습니다. 한메일 이메일 주소는 @hanmail.net 입니..

여름이 시작되면서 매일같이 비가 오나 안오나 날씨를 확인하는게 버릇이 되었네요. 최근에는 비가 온다는 날씨예보를 보고 우산을 챙겼는데 비가 안와서 기상청 날씨예보의 신뢰성이 떨어졌습니다. 그래도 날씨를 확인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상청 홈페이지인 기상청 날씨누리 동네예보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날씨누리 홈페이지 많은 분들이 날씨 앱을 사용하거나 포털사이트에 오늘의 날씨만 검색해서 확인하는 분들이 대부분일 겁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서 기상청 날씨누리를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기상청 날씨누리는 가장 정확하게 날씨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또한 홈페이지가 어플보다 많은 정보를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눈에 파악하기 쉽고 깔끔하게 정리되어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하는 실수중에 하나는, ..

1339에 전화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아님 전화할 상황이신가요? 저는 1339에 전화해본 적이 있는데, 백신 접종 후에 열이 심하게 나서 응급실을 가야하는 상황에 전화를 걸었던 기억이 있네요. 1339는 현재는 메르스 사태 이후에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번호지만 과거에는 응급의료정보센터 전화번호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1339 콜센터 상담시간과 상담 가능한 내용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백신을 맞고난 이후에 나눠주는 안내문에는 항상 이상징후가 생기면 1339 콜센터에 연락하라는 문구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1339 콜센터 직원들이 업무 과다로 힘들어 한다는 기사를 접한적이 있네요. 현재는 조금 나아진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한창 코로나 확진자 수가 급증하고 백신 부작용으로 이슈되었을 때는 문의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