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뇌수막염 원인과 증상

저는 반려견이 갑자기 목을 움직이기 힘들고, 평소보다 활력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던 때를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합니다. 발열과 무기력, 식욕부진이 함께 나타났고, 병원에서 뇌수막염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원인에 따라 치료를 시작했습니다. 이 글은 그런 경험에서 출발해, 강아지 뇌수막염에 대해 핵심적으로 이해하고 빠르게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원인

가. 감염성 원인

  • 세균성(Bacterial): 몸의 다른 부위 감염이 혈류를 통해 뇌로 퍼지거나 두부 외상·수술 등으로 침투해 뇌수막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E. coli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성(Viral): 개 디스템퍼(Distemper) 바이러스, 광견병 바이러스(Rabies Virus) 등도 뇌수막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곰팡이성(Fungal): Cryptococcus, Blastomyces, Coccidioides 같은 곰팡이 감염은 드물지만 심각한 뇌수막염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토양이나 환경으로부터 포자 흡입이 원인입니다.
  • 종자충성/원충성(Parasitic/Protozoal): toxoplasma gondii, neospora caninum 등의 원충 감염이 신경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나. 비감염성 원인

  • 면역 매개성(Immune-mediated): 강아지 뇌수막염의 가장 흔한 비감염성 원인입니다. 무균성 뇌수막염(Sterile Meningitis)과 스테로이드 반응성 뇌수막염-동맥염(SRMA)이 대표적이며, 특정 품종에서 유전적 소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 MUO(Meningoencephalitis of Unknown Origin): 원인 불명의 뇌수막 및 뇌 실질 염증으로 소형견에서 흔합니다. 과거에는 GME, NME, NLE 등으로 분류되기도 했습니다.
  • 종양(Neoplasia): 뇌종양이나 척수 종양이 뇌수막에 염증이나 압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외상(Trauma): 두부 외상이나 척수 손상 후 염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약물 반응(Drug Reactions): 특정 약물에 대한 드문 이상 반응으로 뇌수막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증상

염증의 위치와 원인에 따라 증상은 다양하지만, 뇌와 척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신경학적 징후가 자주 관찰됩니다.

  • 극심한 목 통증 및 경직: 고개를 들거나 돌리는 걸 거부하고, 목이 뻣뻣해 보입니다.
  • 발열
  • 기력 저하, 무기력
  • 식욕 부진
  • 쇠약, 비틀거림/운동 실조
  • 행동 변화: 예민해지거나 불안, 혼란스러운 행동, Head Pressing, Circling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발작
  • 광민감성(빛과 소리에 대한 과민 반응)
  • 안구 진탕(Nystagmus) 및 시력 저하
  • 구토
  • 근육 떨림/경련

위와 같은 증상이 보인다면 즉시 동물병원으로 내원하여 신경학적 검사, 혈액 검사, 뇌척수액 검사, 영상 진단(MRI/CT 등)을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원인에 따라 항생제, 항진균제,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자료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 진단 및 치료

정확한 진단은 여러 검사로 이루어지며,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이 포함됩니다.

  • 신경학적 검사와 기본 혈액검사로 상태 파악
  • 뇌척수액 검사로 염증의 성격, 세포 구성, 단백질 농도 등을 확인
  • 영상 진단(MRI/CT): 뇌/m뇌 수막의 상태와 종양이나 구조적 문제 여부 확인
  • 원인에 따른 치료: 세균성은 항생제, 곰팡이성은 항진균제, 바이러스성은 지지 요법과 면역 조절 등
  • 면역매개성 뇌수막염의 경우 스테로이드 및 면역조절 치료가 주로 필요
  • 통증 관리와 수액 치료, 발작 관리 등 지지 요법

참고로, 뇌수막염은 조기 발견과 신속한 치료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의심 징후가 보이면 지체 없이 수의사의 진료를 받으시길 권합니다. 구체적인 치료 계획은 전문의의 진단에 따라 달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