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네프린 용량 기준 정리

저는 예전에 응급 현장에서 에피네프린의 역할이 얼마나 큰지 직접 체감한 적이 있습니다. 강한 알레르기 반응이 찾아왔을 때, 정확한 용량과 투여 경로가 생명을 구하는 핵심이라는 것을 몸으로 느꼈습니다. 이 글은 그런 경험을 바탕으로, 성인과 소아의 주요 용량 기준을 확인하고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성인 용량 기준

중요 경고: 에피네프린은 농도에 따라 효과와 위험이 크게 달라지므로, 1:1,000(1 mg/mL)과 1:10,000(0.1 mg/mL) 두 가지 주요 농도를 정확히 구분해 사용해야 합니다. IM 또는 SC 투여는 1:1,000 농도, IV 투여는 1:10,000 농도로 극도로 희석하여 서서히 투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아래 용량은 일반적인 지침으로, 실제 사용할 때에는 의료 전문가의 판단이 필요합니다.

1.1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 응급 상황의 1차 약물

주 투여 경로: 근육 주사(IM). 농도: 1:1,000(1 mg/mL). 용량: 0.3~0.5 mg. 투여 방법: 대퇴부 외측 근육에 주사합니다. 필요 시 5~15분 간격으로 반복 투여할 수 있습니다. 자가 투여기(EpiPen 등): 일반적으로 0.3 mg 용량이 사용됩니다. 정맥 주사(IV)로의 투여는 매우 심각한 상황에서만, 극도로 희석하여 서서히 투여하는 것을 권합니다. 농도: 1:10,000(0.1 mg/mL). 용량: 0.05~0.1 mg(0.5~1 mL의 1:10,000 용액)을 5~10분에 걸쳐 천천히 투여합니다. 심혈관계 부작용의 위험이 크므로 심전도 및 혈압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1.2 심정지(Cardic Arrest) — ACLS 가이드라인

주 투여 경로: 정맥 주사(IV) 또는 골강 내 주사(IO). 농도: 1:10,000(0.1 mg/mL). 용량: 1 mg. 반복 투여: 3~5분 간격으로 반복합니다. 투여 후 생리식염수로 플러시하고 팔을 들어 약물이 심장에 도달하도록 합니다. 기관 내 투여(Endotracheal route): IV/IO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 사용 가능하나 흡수율이 낮고 효과가 불확실하여 권장되지 않으나 필요 시 사용합니다. ET 경로 용량: 2~2.5 mg을 5~10 mL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투여합니다.

1.3 증상성 서맥(Symptomatic Bradycardia) / 저혈압(Hypotension) — Infusion

적응증: 심정지 후 혈압 유지, 패혈성 쇼크 등 혈압을 상승시켜야 하는 상황. 투여 경로: IV 지속적 주입. 농도: 1:1,000(1 mg/mL)을 희석하여 사용합니다(예: 1 mg을 250 mL 또는 500 mL의 생리식염수나 5% 포도당 용액에 희석). 일반적인 희석 농도: 4 mcg/mL(1 mg/250 mL) 또는 2 mcg/mL(1 mg/500 mL). 용량: 2~10 mcg/min(0.02~0.1 mcg/kg/min)으로 시작해 혈압과 심박수를 모니터링하며 반응에 따라 조절합니다. 주의: 중심 정맥을 통한 투여가 권장되며 말단 정맥 투여 시 외유출 위험이 있습니다.

2. 소아 용량 기준

2.1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주 투여 경로: IM. 농도: 1:1,000(1 mg/mL). 용량: 체중 0.01 mg/kg, 최대 단일 용량 0.5 mg. 투여 방법: 대퇴부 외측 중앙에 근육 주사합니다. 필요 시 5~15분 간격으로 반복 투여할 수 있습니다. 소아용 자가 투여기: 체중에 따라 0.15 mg(15–30 kg 미만) 또는 0.3 mg(30 kg 이상) 용량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2.2 심정지(PALS) — PALS 가이드라인

주 투여 경로: IV/IO. 농도: 1:10,000(0.1 mg/mL). 용량: 0.01 mg/kg(즉, 0.1 mL/kg의 1:10,000 용액). 최대 단일 용량: 1 mg. 반복 투여: 3~5분 간격으로 수행합니다. 기관 내 투여(Endotracheal): IV/IO 접근이 불가능할 경우 사용할 수 있으나 흡수율이 낮고 효과가 불확실하여 권장되지 않습니다. ET 경로 용량은 0.1 mg/kg의 1:1000 용액을 1~2 mL의 생리식염수에 희석해 투여합니다.

2.3 후두염(Croup) — 분무 흡입(Nebulized)

적응증: 중등도 이상의 후두염으로 인한 상기도 폐쇄 증상 완화. 농도: 1:1,000(1 mg/mL). 용량: 0.25~0.5 mL의 1:1,000 용액을 2.5 mL의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분무 흡입합니다. 주의: 흡입 후 최소 2시간 동안 증상 재발 여부를 모니터링합니다.

3. 기타 사항

국소 마취제 첨가: 국소 마취제의 작용 시간을 연장하고 출혈을 줄이기 위해 소량의 에피네프린을 첨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농도는 보통 1:100,000 ~ 1:200,000으로, 전신 투여 용량과는 다릅니다.

부작용: 빈맥, 심계항진, 고혈압, 불안, 떨림, 두통, 오심, 구토, 심근 허혈, 부정맥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금기: 비선택적 베타 차단제를 복용 중인 환자에게는 주의하여 투여하며, 협심증, 고혈압,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 기저 심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신중합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에피네프린은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강력한 약물이면서도 오용 시 중대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교육을 받은 의료진의 지시와 감독 아래서 사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