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기업은행 통장 사본이 필요해 모바일 앱으로 발급받아 본 경험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앱에서 바로 해결될지 걱정도 되었지만, 실제로는 로그인부터 발급까지 비교적 수월했고, 필요할 때 바로 저장하거나 공유할 수 있어 편리했습니다. 아래 내용은 그런 제 경험에 바탕을 두고 정리한 발급 방법입니다.
방법 1: 특정 계좌 선택 후 발급 (가장 일반적)
- 앱 실행 및 로그인: i-ONE 뱅크 앱을 실행하고 공동인증서, 간편비밀번호, 지문 등으로 로그인합니다.
- 전체계좌조회 또는 내 계좌 접속: 메인 화면에서 모든 계좌를 확인할 수 있는 전체계좌조회 또는 내 계좌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 발급할 계좌 선택: 통장 사본이 필요한 특정 계좌를 선택해 계좌 상세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 계좌관리/계좌상세 메뉴 찾기: 계좌 상세 화면에서 하단이나 우측 상단의 메뉴를 눌러 계좌관리, 계좌상세, 통장사본 또는 계좌정보확인서 발급 등을 찾습니다.
- 통장사본 및 발급 화면 열기: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통장 사본 이미지나 계좌정보확인서 화면이 나타납니다.
- 저장 또는 공유: 화면 하단의 이미지 저장, PDF 저장, 공유하기 버튼을 이용해 스마트폰에 저장하거나 카톡, 메일 등으로 공유합니다.
방법 2: 전체 메뉴에서 발급 (증명서 발급 섹션)
- 앱 실행 및 로그인: 위와 동일하게 앱 실행 및 로그인합니다.
- 전체 메뉴 진입: 화면 우측 상단 또는 하단의 전체메뉴 아이콘(≡)을 탭합니다.
- 증명서 발급 위치 찾기: 뱅킹관리, 고객센터, 증명서 등의 카테고리를 찾아 선택합니다.
- 발급 카테고리에서 선택: 증명서 발급 → 통장사본 발급 또는 계좌정보확인서 발급을 선택합니다. 기업은행의 경우 계좌정보확인서라는 명칭으로 제공될 가능성이 큽니다.
- 계좌 선택 및 발급: 통장 사본이 필요한 계좌를 선택하고 발급 버튼을 누르면 이미지나 PDF 형태로 생성됩니다.
- 저장 또는 공유: 생성된 파일을 저장하거나 필요한 곳으로 공유합니다.
중요한 팁
- 통장사본 vs 계좌정보확인서: 많은 은행에서 통장사본 대신 계좌정보확인서라는 명칭으로 동일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발급 용도에 따라 두 문서의 효력이 동일하게 인정될 때가 많습니다.
- 파일 형식: 일반적으로 이미지 파일(JPG/PNG) 또는 PDF로 발급됩니다. 제출처의 요구사항에 맞춰 선택하시면 됩니다.
- 진위 확인: 발급된 문서에는 QR코드나 진위확인 번호가 포함될 수 있어 필요 시 확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