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파일을 다른 사람과 주고받을 일이 생겼을 때, 이메일로 보내기에는 용량이 너무 커서 애를 먹은 적이 있습니다. 압축을 해도 한계가 있어서, 결국 집 컴퓨터를 작은 서버처럼 만들어 두고, 밖에서도 접속해서 파일을 가져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때 처음 알게 된 도구가 바로 파일질라(FileZilla) 서버와 클라이언트였습니다. 처음에는 ‘호스트가 뭐고, 포트는 또 뭐지?’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구조를 한 번 이해하고 나니 훨씬 단순하게 느껴졌습니다.
아래에서는 파일질라 서버를 설치하고, 그 서버에 파일질라 클라이언트로 접속해서 파일을 주고받는 흐름을 차근차근 설명드리겠습니다.
파일질라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역할 이해하기
먼저 헷갈리기 쉬운 부분부터 정리하겠습니다. 파일질라에는 두 가지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 FileZilla Server: 내 컴퓨터를 “파일을 제공하는 서버”로 만드는 프로그램입니다.
- FileZilla Client: 이미 만들어진 서버에 접속해서 파일을 올리거나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여기서 “호스트에 연결한다”는 말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서버가 있는 컴퓨터(호스트)에 접속한다는 뜻입니다. 서버 설정 화면에 적는 127.0.0.1, localhost 같은 값은 “관리자 인터페이스(관리 창)에 연결하기 위한 주소”이고, 실제 파일 전송에 사용하는 FTP 접속 주소와는 다릅니다. 이 부분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아서 먼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파일질라 서버 설치 준비와 다운로드
파일질라 서버는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에서 “Server”를 선택해야 하며, “Client”를 잘못 클릭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예: Windows용 설치 프로그램)을 내려받으신 뒤 실행하면 설치가 시작됩니다.
파일질라 서버 설치와 기본 실행
설치 과정을 진행할 때 보통 기본 옵션 그대로 진행해도 무방합니다. 다만 다음 항목은 확인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FileZilla Server Interface 설치 여부: 서버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화면이므로, 반드시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서비스로 설치 여부: 보통 기본값대로 두면 윈도우가 켜질 때 자동으로 서버 서비스가 시작되게 설정됩니다.
설치가 끝나면 “FileZilla Server Interface”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처음 실행할 때, 서버에 연결할 Host, Port를 물어보는 창이 열립니다.
서버 관리자 인터페이스에 연결하기
서버를 처음 설정하려면 우선 “서버 관리자 인터페이스”에 접속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Host: 127.0.0.1 또는 localhost (자기 자신의 컴퓨터를 의미합니다.)
- Port: 기본값 14147 (파일 전송용 포트가 아니라, 관리 도구용 포트입니다.)
- Password: 별도로 설정하지 않았다면 비워두고 Connect를 눌러도 됩니다.
연결에 성공하면,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 계정을 만들 수 있는 관리 화면이 나타납니다.
FTP 사용자 계정 만들기
다음 단계는 실제로 FTP로 접속할 “사용자 계정”을 만드는 일입니다. 이 계정으로 나중에 클라이언트에서 로그인하게 됩니다.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단 메뉴에서 Edit → Users를 클릭합니다.
- Users 창이 열리면 Add 버튼을 눌러 새 사용자를 추가합니다.
- Username에 사용할 계정 이름을 입력합니다.
- 비밀번호 사용 옵션을 체크한 뒤, Password 칸에 원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 모두 입력했다면 OK를 눌러 계정을 저장합니다.
계정을 만들고 나서도, 이 계정이 어떤 폴더에 접근할 수 있는지, 어떤 권한을 가지는지까지 설정해 주어야 제대로 사용 가능합니다.
공유 폴더(홈 디렉토리)와 권한 설정
이제 방금 만든 사용자 계정이 접속했을 때, 어떤 폴더를 볼 수 있을지 정해줘야 합니다. 보통 이를 “공유 폴더”나 “홈 디렉토리”라고 부릅니다.
- Users 창에서 방금 만든 사용자를 선택합니다.
- 오른쪽에 있는 Shared folders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 Add 버튼을 눌러서 이 사용자에게 보여줄 폴더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D:FTPPublic 같은 폴더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Files, Directories 항목에서 Read(읽기), Write(쓰기), Delete(삭제), List(목록 보기) 권한을 체크합니다.
예를 들면, 단순히 파일만 내려받게 하고 싶다면 Read와 List만 체크하면 되고, 파일을 올리고 지우는 것까지 허용하고 싶다면 Write와 Delete도 함께 체크하면 됩니다. 중요한 자료가 들어 있는 폴더라면 삭제 권한은 조심해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FTP 포트와 패시브 모드 설정 이해하기
FTP는 기본적으로 21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이것은 “명령을 주고받는 통로”이고, 실제 파일을 전송할 때는 추가적인 포트를 사용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가 “Passive Mode(패시브 모드)”입니다.
Passive Mode를 제대로 설정해두지 않으면, 외부에서 접속할 때 목록은 보이는데 파일이 전송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쉽습니다.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Edit → Settings → Passive mode settings 메뉴로 이동합니다.
- Use custom port range를 체크한 뒤, 예를 들어 50000–51000처럼 포트 범위를 지정합니다.
- 외부에서 접속할 계획이 있다면, Force passive mode IP에 공인 IP 주소나 DDNS 주소를 입력합니다.
집 안에서만(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할 거라면, 서버가 설치된 컴퓨터의 내부 IP (예: 192.168.0.10)를 적어도 됩니다. 반대로 밖에서 접속하려면 인터넷에서 보이는 공인 IP나 DDNS 주소를 적어야 합니다.
방화벽과 공유기에서 포트 열기
서버에서 아무리 설정을 잘해도, 중간에 방화벽이나 공유기가 가로막고 있으면 외부에서 접속할 수 없습니다. 다음 항목을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 Windows 방화벽 또는 사용 중인 보안 프로그램에서 FTP 포트(21번)와 설정한 Passive 포트 범위(예: 50000–51000)를 허용합니다.
-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서 포트 포워딩을 설정합니다. 외부의 21번 포트와 Passive 포트 범위를 서버 컴퓨터의 내부 IP로 연결해 주어야 합니다.
이 과정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같은 집 안에서는 접속이 되는데 외부 인터넷에서는 접속이 안 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파일질라 클라이언트 설치하기
이제 서버가 준비되었다면, 서버에 접속할 클라이언트를 설치해야 합니다. 클라이언트는 별도의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받습니다.
- https://filezilla-project.org/client.php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운영체제에 맞는 FileZilla Client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설치를 마치고 FileZilla Client를 실행하면, 위쪽에 호스트,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포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칸과, 좌우로 나뉜 파일 목록 창을 볼 수 있습니다.
사이트 관리자에서 호스트 정보 등록하기
자주 접속할 서버라면 “사이트 관리자”에 정보를 저장해 두는 것이 편리합니다.
- 상단 메뉴에서 파일(F) → 사이트 관리자(S)를 클릭합니다.
- 새 사이트 버튼을 눌러 이름을 정합니다. 예: “집 FTP 서버”.
- 오른쪽에 접속 정보를 입력합니다.
입력해야 할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호스트:
- 내부에서 접속: 서버가 설치된 PC의 내부 IP(예: 192.168.1.100) 또는 같은 컴퓨터일 경우 localhost
- 외부에서 접속: 공인 IP 또는 DDNS 도메인(예: myhome.ddns.net)
- 포트: 기본 FTP 포트는 21입니다. 서버에서 다른 포트로 바꿨다면 그 포트를 적어야 합니다.
- 프로토콜: FTP – File Transfer Protocol을 선택합니다.
- 로그온 유형: 일반을 선택합니다.
- 사용자: 서버에서 만든 FTP 사용자 이름을 입력합니다.
- 비밀번호: 그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모두 입력했다면 저장 후 연결 버튼을 누르면 서버에 접속을 시도합니다. 서버 설정과 네트워크 설정이 올바르면, 오른쪽 창에 서버 쪽 폴더 목록이 나타나고, 왼쪽에는 내 컴퓨터의 폴더가 보입니다.
빠른 연결 기능으로 간단히 접속하기
굳이 사이트 관리자를 사용하지 않고, 한 번만 접속해 볼 때는 “빠른 연결”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상단의 호스트 칸에 서버 주소를 입력합니다. 예: 192.168.1.100 또는 myhome.ddns.net
-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포트(보통 21)를 각각 입력합니다.
- 빠른 연결 버튼을 누르면 즉시 서버에 접속을 시도합니다.
정기적으로 사용할 서버라면 사이트 관리자에 저장하는 것이 좋고, 테스트용이라면 빠른 연결만으로도 충분합니다.
파일 전송과 기본 사용 방법
접속에 성공하면, 이제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은 비교적 직관적입니다.
- 왼쪽(내 컴퓨터)에서 파일을 선택해 오른쪽(서버) 창으로 드래그하면 업로드가 됩니다.
-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면 다운로드가 됩니다.
- 하단 전송 목록에서 전송 중인 파일, 완료된 파일, 실패한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 크기가 크거나 여러 개를 동시에 전송하면 시간이 꽤 걸릴 수 있으므로, 전송 중에는 컴퓨터를 끄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보안을 위한 SFTP와 FTPS에 대한 간단한 소개
일반 FTP는 아이디와 비밀번호, 파일 내용을 암호화하지 않고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 누군가 네트워크를 감시하고 있다면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런 문제를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식이 사용됩니다.
- SFTP: SSH 기반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다른 프로그램(예: OpenSSH 서버)가 필요하며, 파일질라 클라이언트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 FTPS: 기존 FTP에 SSL/TLS 암호화를 더한 방식입니다. 파일질라 서버에서 SSL 인증서를 설정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설정 과정이 FTP보다 조금 더 복잡하지만, 외부 인터넷에서 중요한 자료를 주고받는다면 보안이 강화된 방식도 함께 고려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DDNS로 편하게 접속 주소 관리하기
집 인터넷의 공인 IP 주소는 시간이 지나면 바뀌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마다 새로운 IP를 확인해서 접속하기는 번거롭습니다. 이때 DDNS(Dynamic DNS) 서비스를 이용하면, myhome.ddns.net 같은 도메인을 하나 받아서 IP가 바뀌어도 항상 같은 주소로 접속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일부 공유기에는 DDNS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서, 설정 메뉴에서 바로 DDNS 계정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공유기가 알아서 공인 IP가 바뀔 때마다 DDNS 서버에 새로운 IP를 알려주게 됩니다.
설정 변경 후 서버 재시작 확인하기
파일질라 서버에서 포트 범위나 IP 관련 설정을 바꾼 뒤에는, 서버 서비스가 제대로 다시 시작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설정이 적용되도록 서비스를 재시작해 줘야 할 수 있습니다.
Windows의 서비스 관리자에서 FileZilla Server Service를 찾아 재시작하거나, 파일질라 서버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재시작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변경 사항이 확실하게 반영됩니다.
여기까지 따라오시면, 파일질라 서버를 설치하고 기본 설정을 한 뒤, 파일질라 클라이언트로 실제 호스트에 접속하여 파일을 주고받는 전 과정을 한 번은 경험해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처음에는 용어가 낯설 수 있지만, 서버(파일을 제공하는 쪽)와 클라이언트(접속하는 쪽), 포트와 주소, 사용자 계정과 권한이라는 몇 가지 핵심 개념만 잡으면 그다음부터는 반복적인 작업이 훨씬 수월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