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밤, 잠이 들려고 누웠는데 카카오톡에서 계속 ‘좋아요’ 알림이 울려서 깜짝깜짝 놀란 적이 있습니다. 친구들이 제 메시지에 하트를 눌러 주는 건 고마운데, 알림이 쉴 새 없이 뜨다 보니 오히려 머리가 복잡해졌습니다. 그때부터 카카오톡 알림을 어떻게 조용하게 바꿀 수 있을지 하나씩 눌러 보며 설정을 정리해 보았고, 지금은 필요한 알림만 받고 있습니다. 아래 내용은 그런 과정을 정리한 것으로, 비슷한 상황이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참고로, 카카오톡에는 ‘좋아요 알림만 따로 끄는 기능’은 아직 없습니다. 그래서 보통은 채팅방 알림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좋아요’ 알림까지 함께 관리하게 됩니다.
카카오톡의 ‘좋아요’ 알림은 어떻게 작동할까요?
카카오톡에서 누군가가 내 메시지에 하트, 웃는 얼굴, 엄지 등 이모티콘 반응을 남기면, 카카오톡은 이것을 별도의 특별한 알림이라기보다 “해당 채팅방에서 새로운 활동이 있었다”는 일반 알림처럼 처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좋아요’만 딱 골라서 끄기보다는, 그 메시지가 속해 있는 채팅방의 알림을 조절해서 함께 관리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즉, 다음과 같이 기억하시면 편합니다.
- 채팅방 알림을 켜두면: 메시지 + ‘좋아요’ 반응 알림이 함께 올 수 있습니다.
- 채팅방 알림을 끄면: 그 방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알림(메시지, 반응 등)이 같이 줄어듭니다.
1. 개별 채팅방 알림을 꺼서 ‘좋아요’까지 함께 조용하게 만들기
가장 현실적으로 많이 쓰는 방법은, 시끄러운 채팅방만 골라서 알림을 끄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중요한 채팅방은 그대로 두고, 덜 중요한 채팅방의 ‘좋아요’ 알림까지 함께 줄일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카카오톡 앱을 실행합니다.
- 알림을 줄이고 싶은 채팅방을 엽니다.
- 오른쪽 상단의 메뉴 아이콘(보통 세 줄 메뉴나 줄 세 개 모양 버튼)을 누릅니다.
- 채팅방 정보나 설정이 보이는 화면에서 “알림” 또는 “알림 켜기/끄기” 항목을 찾습니다.
- 이 항목을 눌러서 꺼두면, 그 채팅방에서는 메시지와 ‘좋아요’ 반응 알림이 대부분 들어오지 않습니다.
카카오톡 버전이나 기기에 따라 문구가 약간 다를 수 있지만, 보통 “알림 끄기” 또는 “채팅방 알림 끄기”처럼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 기능을 잘 활용하면 학급 단체방처럼 메시지가 많이 올라오는 방에서도, 필요할 때만 들어가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버전에서는 채팅방에서 알림은 유지하되, 소리만 끄거나 진동만 끄는 선택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화면에 글자로 알림이 뜨는 것은 허용하고, 소리와 진동만 줄이고 싶다면 이 옵션들을 확인해 보시면 좋습니다.
2. 중요한 채팅방만 골라서 알림 유지하기
모든 채팅방 알림을 다 끄다 보면, 정말 중요한 메시지까지 놓치게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하는 방식이 많이 쓰입니다.
- 가족, 학급 공지, 동아리 안내처럼 꼭 봐야 하는 채팅방: 알림 켜두기
- 잡담이 많고 반응(좋아요, 이모티콘)이 넘치는 방: 알림 끄기
이렇게 나누어 두면, ‘좋아요’ 알림 때문에 시끄러운 방은 조용해지고, 정말 필요한 방에서 오는 메시지는 비교적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카카오톡 전체 알림을 줄이는 방법 (신중하게 사용하기)
개별 채팅방 설정이 아니라, 카카오톡 전체 알림을 한 번에 줄이는 방법도 있습니다. 다만 이 방법은 ‘좋아요’뿐 아니라 모든 알림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신중하게 쓰는 편이 좋습니다.
방법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 카카오톡을 실행합니다.
- 화면 하단에 있는 “더보기” 또는 “전체 메뉴”로 들어갑니다. (버전에 따라 점 세 개 메뉴로 표기될 수 있습니다.)
- 오른쪽 상단에 있는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 “알림” 메뉴를 누릅니다.
이 안에서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알림음: 소리를 아예 끄거나, 다른 소리로 바꿀 수 있습니다.
- 진동: 메시지가 와도 진동이 울리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 푸시 알림: 이 항목을 꺼 버리면 카카오톡에서 오는 거의 모든 알림이 차단됩니다.
푸시 알림을 끄면 ‘좋아요’ 알림도 같이 줄어들지만, 친구가 급한 연락을 보내도 알림이 안 뜰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방법은 시험 기간처럼 정말 집중해야 하는 짧은 시간 동안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평소에는 푸시 알림은 켜 두고, 각 채팅방의 알림을 따로 조절하는 쪽이 더 안전합니다.
4. ‘좋아요’ 알림만 따로 끄는 기능이 없는 이유
현재 카카오톡에서는 ‘좋아요만 끄기’, ‘이모티콘 반응만 끄기’ 같은 아주 세세한 알림 조절 기능은 제공되지 않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카카오톡이 메시지 수신과 반응을 대부분 같은 종류의 활동으로 묶어서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고,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다음처럼 우회해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반응(좋아요)이 너무 많은 단체방은 과감하게 알림 끄기
- 자주 확인하는 중요한 방만 알림 켜기
- 공부나 휴식 시간이면 잠시 알림을 끄거나 무음으로 바꾸기
혹시 카카오톡의 새로운 기능이나 업데이트가 궁금하다면, 카카오 고객센터 도움말 페이지에서 최근 알림 기능 설명을 확인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페이지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https://cs.kakao.com
5. 시간대별로 알림 관리하는 습관 들이기
알림을 한 번에 완벽하게 정리하는 것보다, 생활 패턴에 맞게 조금씩 조정하는 습관을 들이면 더 편합니다. 예를 들어, 평일 저녁에는 알림을 조금 더 열어 두고, 주말 밤이나 공부해야 하는 시간에는 시끄러운 채팅방의 알림을 잠시 꺼 두는 방식입니다.
이때 도움이 되는 간단한 습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새 단체방에 초대되면, 먼저 알림 설정부터 확인하기
- 알림이 너무 많이 온다고 느껴지면, 바로 그 방 설정 열어서 알림 끄기 버튼 찾기
- 시험 기간이나 중요한 일정 전에는, 미리 몇 개 방의 알림을 꺼 두었다가 끝난 뒤 다시 켜기
이렇게 조금만 정리해 두면, 카카오톡을 완전히 끄지 않아도 ‘좋아요’ 알림 때문에 방해받는 일은 훨씬 줄어듭니다. 알림을 내 생활에 맞게 조절하는 연습을 해 두면, 앞으로 다른 앱을 사용할 때도 훨씬 편하게 디지털 생활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지금 사용 중인 카카오톡 화면에서 메뉴 이름이나 위치가 조금 다르게 보일 수 있지만, 대부분 비슷한 곳에 알림 관련 설정이 숨어 있으니 천천히 눌러 보시면서 자신의 스타일에 맞게 알림을 조정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