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표를 예약할 때는 항상 일정이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갑작스러운 회의, 피치 못할 사정, 단순한 착오 등 다양한 이유로 환불을 하게 되는데, 이때 중요한 것이 바로 반환 수수료입니다. 많은 분들이 기차표를 환불할 때 “생각보다 수수료가 많이 붙네?”라고 느끼곤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ktx 승차권 반환 수수료 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왜 반환 수수료가 있을까?
먼저, 반환 수수료가 존재하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
예약을 신중하게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
이미 예약된 좌석 때문에 다른 사람이 기회를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이유가 가장 큽니다. 즉, 무분별한 예약과 취소를 막기 위한 장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환불 기본 규칙
-
출발 전: 홈페이지나 코레일톡 앱에서 직접 환불 가능
-
출발 후: 역 창구에서만 환불 가능
-
열차 도착 이후: 환불 불가능
이 세 가지 원칙을 먼저 기억해 두시면 됩니다.
평일(월~목) 기준
-
출발 3시간 전까지: 수수료 없음 (무료 환불)
-
출발 3시간 전 이후 ~ 출발 직전: 5% 위약금
-
출발 후 20분까지: 15% 위약금
-
출발 후 20분 ~ 60분: 40% 위약금
-
출발 후 60분 이후 ~ 도착 전: 70% 위약금
주말·공휴일·명절 특별수송기간
-
출발 하루 전까지: 400원 (단, 구매 후 7일 이내 환불 시)
-
출발 3시간 전까지: 5% 위약금
-
출발 직전(3시간 이내): 10% 위약금
-
출발 후 20분까지: 15% 위약금
-
출발 후 20분 ~ 60분: 40% 위약금
-
출발 후 60분 이후 ~ 도착 전: 70% 위약금
놓쳤을 때 유용한 팁
혹시 기차를 놓쳤다고 너무 아쉬워하지 마세요. 출발 후 20분 이내라면 위약금이 15%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바로 역 창구에서 환불을 요청하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1시간을 넘기게 되면 수수료가 무려 40%로 올라가고, 도착 직전에는 70%까지 늘어나니 빠른 대응이 중요합니다.